리사용 재사용 리소스 공간. 화면에는 엄청 움직이는 것 같지만 이팩트 개수를 줄이면서 조절하여 맞춘다. 실제 게임하는 사람은 기술을 써서 다량의 몬스터가 동시에 죽을 때 100개인지 60개인지 표시되는 것이 중요하지 않습니다. 풀링 방식으로 리소스를 재활용합니다.
상태머신
플레이어의 상태를 프로그램에서 스크립트화하여 그때그때 작업하며 기획에 맞게 수정하다보면 유지보수 문제도 심각해지고 작업도 어려워지고 복잡해지고 버그도 많아진다. 그래서 상태머신을 설정합니다. 특정 이벤트에 해당하는 상태로 변경이 발생하고 해당 상태에서 또다른 이벤트에 의해 상태를 변경하는 것입니다. 단점은 아니지만 좀 복잡해질 수 있는 것은 동시의 이벤트에 대해 처리를 하려면 Attack 내의 Sub-State-Machine을 작성하고 또 하위 Sub-State 등을 추가해 나아갈 수 있는데 좀 복잡해질 수 있다.
지만 단점은 아닐 수 있는 부분이 기존 방식대로라면 if-else의 엄청 복잡한 분기 구조를 사용했어야 할텐데 오히려 어려웠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 State은 확장성과 유지 보수가 중요합니다. + Transition은 절대 중복되면 안된다. Idle->Attack 또는 Idle->Jump 등 명확한 상태로 이동되어야 합니다. + 상태 이름은 명확해야 한다. Jump01, Jump02이런 형태면 알 수 없다. + Condition은 단순화가 중요. + Update 동작이 복잡한 State는 분리를 고민해봐야 합니다. Sub-State를 만드는 것이지요.
사운드 시스템
타격감. 게임의 완성도에 영향이 컸지만 요즈음은 인디게임이나 모바일 게임에서는 중요성이 많이 낮아진 상태입니다. 왜냐면 일단 재생이 되는 것이 확인만 되면 추후 클립만 업데이트 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어차피 인기가 있어서 업데이트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면 그때 피드백 받아 적용해도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사운드 유니티툴을 제작하며 3D 입체 사운드를 처리하는 방식도 추후 개발해볼 예정입니다. 특정 위치에 도착시 Box Collision 지역을 만들어서 도착하면 자동으로 사운드를 변경하는 방법. 매번 프로그램에서 여기서 어떤 오디오 재생, 어디서는 어떤 오디오 재생하는 형태가 아니라 오디오 관리툴을 만들어서 UI 상태에서 오디오 클립을 배치하여 코드로 작업하지 않습니다. 캐릭터의 발자국 소리도 모든 상태의 소리를 신발에 넣어두는 것이 아니라 특정 위치 공간에서 오디오 클립을 모두 가지고 있고, 플레이어가 배경에 들어오는 순간 공간에 지정된 플레이어의 신발에 특정 오디오 클립을 연결하여 재생하는 형태로 만듭니다. 물이 있는 공간에 들어갔을 때 플레이어가 걸으면 철퍽철퍽하는 소리가 나는 그런 것들인 것이지요.
어셋번들
압축된 리소스 모음 파일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복잡하고 알아야 하는 내용들이 많습니다. 사용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어드레서블 에셋이 개발됩니다.
어드레서블(Addressables)은 복잡한 라이브 콘텐츠를 전달해야 하는 대규모 제작팀의 요구사항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Unity 에디터 및 런타임 에셋 관리 시스템입니다. 본인들도 어렵다고 인정했다고 하십니다.. ㅎㅎ 맞습니다. 이런 경우 참 많거든요.. 100% 공감이 갑니다.
에셋의 위치 지정, 빌드 및 로드와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몇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어드레서블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Meta 파일: 어셋 관련하여 Meta 파일이 엄청 중요합니다. GUID. 처음 어셋을 만드는 PC에서의 Prefab에 대한 GUID가 생성되며 들어가게 되는데 이것이 Meta 파일로 관리되게 됩니다. 그런데 Meta 파일이 공유되지 않으면 다른 PC않으면 또 독립적은 GUID가 발급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유니티 셰이더
셰이더는 화면에 출력하는 픽셀의 색을 정해주는 함수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셰이더 전에 알아야 하는 내용은 파이프라인과 빛의 원리.
렌더링 파이프 라인의 4단계. 1) 3점으로 이루어진 Vertex로 구성진 오브젝트 받아오기. 2) 정점셰이더: 버텍스들에게 월드변환행렬(월드좌표계)를 곱해주므로써, 원근감 등을 표현. 3) 래스터라이져: 오브젝트를 출력해주는 과정. 3D 오브젝트가 모니터에 보이도록 픽셀이 되는데 이 과정을 래스터화라고 하며 3D 이미지가 2D 이미지가 되는 것입니다. 4) 픽셀셰이더와 프레그먼트 셰이더: 픽셀셰이더가 동작하며 조명과 텍스쳐 등 특수효과를 연산.
+ 유저에게 쾌적환 플레이 제공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 게임 시간 절약 및 데이터 절약도 가능해집니다. + 우리나라 환경에서는 문제가 덜 하긴 하지만 지금도 외국에서는 데이터를 용량별로 유료로 사용하는 곳도 많습니다. + 플랫폼 이슈: 용량이 적거나 저사양의 모바일에서도 게임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더 많은 유저가 즐길 수 있겠지요.
+ 향후 업데이트를 위해: 최적화된 패치는 용량, 시간 등 많은 이점이 있습니다.
프로파일링
현재 게임이 돌면서 하드웨어 상태를 지켜본다. 전체적인 리소스 사용 흐름량을 확인할 수 있다. 게임을 진행하는 중에 어떤 지점에서 문제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기가 쉽다. 어떤 스크립트에서 문제가 발생하는지도 바로 확인이 가능하다. 특정 시점에서 CPU나 메모리 사용량이 늘어나는 구간을 그래프로 확인하여 어떤 스크립트에서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 또는 최적화를 해야하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라이브팀 vs 신규개발팀
어떤 형태의 게임 개발 및 업무가 나에게 맞는 것이 중요할 것 같네요. 나에겐... 신규개발팀(?)처럼 특정 기간내의 특정 프로토타입 게임 개발을 많이 해보는 것이 많은 것들을 해볼 수 있어서 좋을 것 같네요.
추가적으로 유용한 내용들. + 스택오버플로우 사이트. ㅎㅎ 너무 유명하죠.. 개발일을 하면 구글 검색하며 진짜 자주 접근하게 되지요. + 예시 코드의 위험성. 샘플코드를 포트폴리오로 사용하지 마라. + 팀마다 코드 규약: 변수 규약 Camel Case 등.. + 코드 리뷰의 중요성
+ 형상관리. GitHub, SVN
여기까지 해보았는데요.. 이건 유니티로 게임만드는 것 자체에 대한 것보다 전반적인 소프트웨어 개발자라면 알아야 하는 내용이라고 하는 것이 맞겠습니다. 정말 유용한 내용이었습니다.
예전에 패스트캠퍼스 오프라인으로 영상 처리 강의를 듣고 좋은 기억이 있어서 그 이후로는 패스트캠퍼스 강의를 지속 주시하고 있었다. 그러다 이번에 유니티 관련 업무를 진행하게 되어 겸사겸사 교육 수강을 했는데 왜인걸 환급 챌린지 과정!! 와우 ^^*~ 겸사겸사 정리할겸 기록도 남길 겸 미션 시작합니다.
올인원 패키지 : 유니티 포트폴리오 완성 100% 환급 챌린지 1회차 미션입니다.
처음 강의는 기술 면접 대비 알아두면 좋을 내용이라고 설명을 하면서 시작해 주셨습니다.
그런데 들어보니 꼭 면접은 아니더라도 전반적으로 알아두면 좋을 내용들이 많네요.
그래서 꼼꼼히 듣기 시작하였습니다.
01. 콘텐츠 프로그래머 채용 면접에 꼭 나오는 핵심 개념
우선 기술면접 보기전에 알아두면 좋을 것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해주시는데요.
기술 면접을 준비하는 방법입니다. ㅎㅎ 열정 -> 코딩 -> 스펙 -> 경험
우선 열정! 하고자 하는 Passion이 강해야 끝까지 밀고 나갈 수 있겠지요.
이건 참 좋은 내용입니다. 그냥 아무 생각없이 만드는 것이 아니라 준비를 하자는 것입니다. 포트폴리오든 인디게임 출시 경험이든, 게임회사인턴 생활을 해보는 방법도 있겠지요.
저는 인턴은 어려운 나이라 ㅋㅋ 포트폴리오 및 인디게임 출시 경험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꼭 알아야할 가장 중요한 핵심도 설명을 해주십니다. 1. Unity란 무엇인지 2. JSON은 꼭 사용하자. 3. 다국어 처리 방법을 알자. 4. 유니티 툴. 이미 만들어진 툴은 많은 경험이 있는가? 혹은 직접 개발해서 다루어 본 툴은 있는가? 어떤 때에 적용해 보았는가? 5. 가비지 컬렉터.
Unity? 유니티를 아는가? 라는 질문이라기 보다는 내포된 핵심 용어 등을 잘 이해하고 있느냐는 개념입니다. GameObject? Prefab? Component? 이러한 개념들을 어설프게 아니라 정확하게 알고 넘어가야 뼈가 되고 살이 된다는 것이지요.
JSON은 이제는 정말 중요한 개념인 것 같습니다.
사실 예전에 DataManager라는 비슷한 개념의 클래스를 어설프게 만들어 쓰면서 좋아했었는데.. ㅋㅋ 부끄럽네요. 그때 JSON을 알았더라면 바로 적용했을텐데 말이죠. ㅎㅎ JSON은 텍스트 묶음 구조체로서 뷰어등을 통해 봐야 좀 깔끔하게 볼 수 있습니다.
텍스트 묶음의 객체화 또는 객체의 텍스트 묶음화 등이 가능합니다.
예전 서버-클라이언트 개발 방식은 서버에서 DATA(id, name, bonus) 등을 구성하고 서버에서 id, name, bonus 개별적 처리하고 클라이언트에서도 전체 문자열을 받아서 id, name, bonus를 Parsing하여 개별 할당하는 처리 방식이었는데, 문제는 개발을 해나아가면서 서버나 클라이언트에서 데이터 구조를 변경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되는데 그때마다 서로 맞추어 각각 변경해야 하는 경우가 다반사였습니다.
JSON을 쓰면 DATA 구조를 바로 오브젝트화 가능하기 때문에 안정적이고 빠른 개발이 가능해진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JSON과 더불어 XML도 비슷한 개념으로 같이 공부해두면 좋습니다.
JSON의 단점은 데이터의 크기가 많아지고 복잡해지면 부하가 좀 발생하게되어 느려진다는 점.
JSON 짤 쓰는 방법은 1) Serializable한 데이터 클래스. 2) Key의 이름을 잘 지어야 한다는 것. 3) 클래스 크기가 너무 길지 않게.. 또는 쪼개서. 4) 유지보수를 위해 버전 추가.
다국어를 다루는 크게 2가지 방법이 있는데 Text Localization과 Image Localization 입니다.
Text 로컬라이제이션은 예전에는 모든 언어를 들고 있어 무겁고 버그가 많았었는데요. 현재는 사용하는 언어만 들고 있도록 처리하여 무겁지 않도록 처리합니다. 사용중인 언어만 다운로드하고 기존 언어는 제거하는 방식인거죠.
이미지는 로컬라이제이션을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특수하게 타이틀 이미지 같은 경우가 있다면.. 그런정도만.. 특수하게.. 하지만 왠만하면 하지않아야 좋은 것이죠..
유니티 툴.. 이건 핵심이죠.. 몇십년전 단순 게임을 만들때에도 맵툴. 텍스트툴 등을 만들어서 사용했었습니다.
개발자가 직접 코드만으로 모든 처리를 한다는 것은 어렵고 힘도 부칩니다. 툴은 필수 ㅎㅎ 각종 테스트를 위한 툴이라던가.. UI를 구성하기 편하게 하기 위한 툴이라던가.. 매번 빌드하여 하지 않고, 테스트하는 사람은 쉽게 여러가지 상황을 직접 확인할 수 있겠지요.
툴의 단점은.. 지속 툴 개발을 유지보수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는 점. 실무에서는 엑셀로 때려박고 부르는 툴 형태가 되어가는 형태가 많다고 하시네요.. ㅎㅎ 그러지말자.. 고 하십니다.
Unity Tool의 UI를 구성하는 것이 편하지는 않지만 조금 번거롭지만.. 한번 UI 작성하면 많이 수정하진 않으므로 괜찮다고 합니다. 단순한 형태의 UI로 구성해서 만드는 것이 좋겠지요.
가비지 컬렉터? 쓰레기 모으기인데.. GC라고 자동으로 메모리 관리를 한다는 것입니다. 쓰레기 메모리를 알아서 삭제하며 관리하는 것이지요. 이것도 예전에는 버그도 많고 무겁고 그랬는데.. .Net 버전에 따라 GC 동작도 많이 다르고 많이 변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최신 .Net 기준으로 준비해야 합니다.